All (120) 썸네일형 리스트형 Salesforce 프로필 사진 URL 세일즈포스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 하다보면 내 프로필의 썸네일 사진이 필요 할 때가 있는데 세일즈포스에서 여러가지 크기의 썸네일 이미지를 요청하는 URL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리턴해 줍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 그 URL들을 정리 해봅니다. 참고로 *** 부분은 사용자 ORG마다 다르니 맞는 주소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350 x 350 https://***.content.force.com/profilephoto/***************/C 320 x 320 https://***.content.force.com/profilephoto/***************/I 200 x 200 https://***.content.force.com/profilephoto/***************/F 160 x .. Salesforce Org 속도 및 성능 확인 Salesforce Org 속도 및 성능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Salesforce Org에 로그인 후 아래와 같은 URL로 접속하세요. https://[YourOrgDomain].my.salesforce.com/speedtest.jsp 예) https://sample.my.salesforce.com/speedtest.jsp My Domain 이 설정된 Org에서만 접근이 가능합니다. [링크] Salesforce 관련 링크 Salesforce Basicshttps://developer.salesforce.com/trailhead/module/lex_implementation_basics Salesforce Platform Basicshttps://developer.salesforce.com/trailhead/module/starting_force_com Service Cloud Basicshttps://developer.salesforce.com/trailhead/module/service_basics CRM Basicshttps://developer.salesforce.com/trailhead/module/admin_intro_crm_basics [all document]https://developer.salesforce.. HTTP 포로토콜 버전 HTTP 포로토콜 버전 오늘날 쓰이고 있는 HTTP 프로토콜은 버전이 여러가지 HTTP/0.9 1991년의 HTTP 프로토타입은 HTTP/0.9로 알려져 있다.이 프로토콜은 심각한 디자인 결함이 다수 있고 구식 클라이언트하고만 같이 사용할 수 있다.HTTP/0.9는 오직 GET 메서드만 지원하고,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MIME 타입이나, HTTP 헤더, 버전 번호는 지원하지 않는다.HTTP/0.9는 원래 간단한 HTML 객체를 받아 오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HTTP/0.9는 금방 HTTP/1.0으로 대체되었다. HTTP/1.0 1.0은 처음으로 널리 쓰이기 시작한 HTTP 버전이다.HTTP/1.0은 버전 번호, HTTP 헤더, 추가 메서드, 멀티미디어 객체 처리를 추가했다.HTTP/1.0은 시각적.. HTTP 상태 코드 HTTP 상태 코드 아래 표과 같이 HTTP/1.1에 정의된 모든 상태 코드와 그들에 대한 간략한 요약을 제공하는 레퍼런스 [표] 100~ 상태코드 상태 코드 사유 구절 의미 100 Continue 요청의 앞부분이 수신되었으므로 클라이언트는 이 후에 속행해야 한다. 101 Switching Protocols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Upgrade 헤더에 나열한 것 중 하나로 프로토콜 [표] 200~ 상태코드 상태 코드 사유 구절 의미 200 OK 요청에 문제가 없다. 201 Created 리소스가 생성되었다.(서버 객체를 생성하는 요청에 대해). 202 Accepted 요청이 받아들여졌지만, 서버는 그에 대해 어떤 동작도 아직 수행하지 않았다. 203 Non-Authoritative 엔터티 헤더에 담긴 정보가.. HTTP 상태 코드 분류 HTTP 상태 코드 분류 HTTP 상태 코드는 아래 표와 같이 크게 다섯 가지로 분류 됨 [표] 상태코드 분류 전체범위 정의된 범위 분류 100~199 100~101 정보 200~299 200~206 성공 300~399 300~305 리다이렉션 400~499 400~415 클라이언트 에러 500~599 500~505 서버 에러 참고서적 : HTTP 완벽 가이드 (웹은 어떻게 동작하는 가) [SQL 기본]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 2. CREATE TABLE [SQL 기본]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2. CREATE TABLE 가. 테이블과 칼럼 정의 테이블에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으면서 반드시 값이 존재하는 단일 칼럼이나 칼럼의 조합들(후보키) 중에 하나를 선정하여 기본키 칼럼으로 지정 나. CREATE TABLE 테이블을 생성하는 구문 형식 CREATE TABLE 테이블이름 ( 칼럼명1 DATATYPE [DEFAULT 형식], 칼럼명2 DATATYPE [DEFAULT 형식], 칼럼명3 DATATYPE [DEFAULT 형식]); 테이블 생성 시 주의할 규칙 테이블명은 객체를 의미할 수 있는 적절한 이름을 사용테이블명은 다른 테이블의 이름과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한 테이블 내에서는 칼럼명이 중복되게 지정될.. [SQL 기본]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 1. 데이터 유형 [SQL 기본]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1. 데이터 유형 데이터 유형은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특정 자료를 입력할 때, 그 자료를 받아들일 공간을 자료의 유형별로 나누는 기준 선언한 유형이 아닌 다른 종류이 데이터가 들어오려고 하면 데이터베이스는 에러를 발생 CHAR에서는 문자열을 비교할 때 공백(BLANK)을 채워서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끝의 공백만 다른 문자열은 같다고 판단 예) CHAR 유형'AA' = 'AA ' 예) VARCHAR 유형'AA' ≠ 'AA ' [표] 자주 쓰이는 데이터 유형 데이터 유형 설명 CHARACTER(s) - 고정 길이 문자열 정보 (CHAR로 표현) - s는 기본 길이 1바이트, 최대 길이 Oracle 2,000, SQL Server 8,00..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다음